헬린코린이
[JAVA] 변수 본문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는 계속 변하는 값이면서, 그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박스를 변수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변수는 소문자로 정의할 수 있고 대문자로도 정의할 수 있지만 로마에 가면 로마에 법을 따르듯이 개발자끼리 암묵적인
약속을 한 것이니까 그냥 소문자로 정의하면 된다. 여기서 대문자는 어디서 사용하냐는 생각이 들겠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몰라도 된다.
int a;
'a'가 변수이다 쉽지 않은가? 우리는 벌써 공간을 만들었다.
이제 이 공간에 물건을 넣어줘야 하는데 우리는 그것을 "초기화" 라고 부른다.
int a;
a = 10;
'a'라는 변수에 10이라는 정수를 초기화해주었다.
여기서 의문이 들 것이다. =부호는 같다 라는 거 아닌가?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 =부호는 왼쪽에 있는 값을 변수에 저장해준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System.out.println(a);
이 문법은 간단히 말하자면 'a'라는 변수에 담긴 값을 우리가 볼 수 있게 console 창에 알려주는 메서드이다.
그러면 우리는 10이라는 값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의문이 들것이다. int 이 친구는 뭐란 말인가
Java에서는 변수 앞에 저렇게 타입을 지정해 주어야 한다.
boolean a = false;
char b = 'A';
int c = 30;
float d = 3.14;
double e = 3.14;
타입 종류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이 타입을 많이 쓴다. 이 타입들을 기본형이라고 정의한다.
boolean타입은 true/false를 반환한다.
char타입은 문자를 반환한다.
int타입은 정수를 반환한다.
float/double은 실수를 반환한다.
이 기본형 타입은 아무것도 값을 초기화해주지 않으면 0을 반환한다.
이 외에도 대표적으로 String타입이 있는데 이 타입은
String s = null;
String 타입은 문자열을 반환한다. char타입과 다른 점은 char타입은 문자 한 개만 정의할 수 있고
String타입은 여러 문자를 담을 수 있다.
String 타입은 보시다시피 값을 초기화해주지 않으면 null을 반환한다.
이런 타입들을 참조형 타입이라고 한다. 자세한 건 차차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