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124)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 형변환, 아스키코드 기본형 타입의 형 변환을 알려주고자 한다. 형 변환이란 말 그대로 기본형 타입을 변환해주는 것이다.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int i = (int)1.234; double d = 1;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d); i를 출력하면 "1"이 출력된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int타입은 정수를 담기 때문이다. 소수점 뒤에 숫자는 다 없어진다. 더 자세한 이유는 int타입은 4byte 실수를 저장하는 double타입은 8byte이다 즉 8byte의 값을 4byte에 넣으려고 하니 다 못 들어가서 없어져 버린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반대로 d를 출력하면 값이 어떻게 나올까? d는 1.0이 나온다. 왜 이건 없어지지 않고. 0이 생겨난 걸까.. [JAVA] 조건문 if 조건문은 if , switch문이 있는데 switch문은 다루지 않겠다. 조건식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if가 한글로 번역하면 ~라면 인데 말로 하면서 식을 쓰면 쉽게 써진다 예를 들기 전에 if(조건식) { 내용 } if문은 기본적으로 이렇게 작성할 수 있다. 앞에서 배운 것처럼 조건식에는 연산자를 이용해서 조건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만약 ~라면을 대입해볼 건데 예를 들어 int a = 10; int b = 20; if(a>b) { System.out.println("a가 크다"); } 이런 if문이 있다고 하자 a는 10으로 초기화했고 b는 20으로 초기화했다.(초기화가 무슨 뜻인지 모른다면 변수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if문을 봤을 때 a가 b보다 커다란 조건식이 있는데 a가 b보다 크다면.. [JAVA] 연산자 연산자에는 산술, 대입, 복합 대입, 비교, 논리, 조건... 연산자가 있다. 우선 산술연산자에는 +, -, *, /, % 가 있다. 코드로 보여주겠습니다. int a = 10 + 5; int a = 10 - 5; int a = 10 * 5; int a = 10 / 5; int a = 10 % 5; 이렇게 정의할 수 있다. 다른 것은 수학시간에 배웠을 거라 생각하고 마지막에 % 연산자를 보겠다. % 연산자는 처음 본 사람들에게는 생소하겠지만 쉽게 이야기하면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다 저 코드를 출력시켜보면 console창에는 5가 출력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대입연산자이다. 우리는 이 연산자를 처음부터 써왔다. = 이것이 대입 연산자이다 따로 설명은 필요 없을 것 같다. int a = 10; 복합 연산자는 .. [JAVA] 변수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는 계속 변하는 값이면서, 그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박스를 변수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변수는 소문자로 정의할 수 있고 대문자로도 정의할 수 있지만 로마에 가면 로마에 법을 따르듯이 개발자끼리 암묵적인 약속을 한 것이니까 그냥 소문자로 정의하면 된다. 여기서 대문자는 어디서 사용하냐는 생각이 들겠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몰라도 된다. int a; 'a'가 변수이다 쉽지 않은가? 우리는 벌써 공간을 만들었다. 이제 이 공간에 물건을 넣어줘야 하는데 우리는 그것을 "초기화" 라고 부른다. int a; a = 10; 'a'라는 변수에 10이라는 정수를 초기화해주었다. 여기서 의문이 들 것이다. =부호는 같다 라는 거 아닌가? 하.. 이전 1 ··· 13 14 15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