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84)
웹 요청과 응답 Browser란 웹 서버에서 이동하며(navigate) 쌍뱡항으로 통신하고 HTML 문서나 파일을 출력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응용 소프트웨어이다. 웹 브라우저는 대표적인 HTTP사용자 에이전트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즉,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원하는 정보를 요청을 하고 응답받아 사용자에게 받아진다. 웹(World Wide Web) 당시 빠르게 발전하고 있던 인터넷 그리고 HyperText같은 당시 새롭게 떠오르는 컴퓨터 기술들을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Information Management: A Proposal이라는 제안서의 아이디어를 토대로 오늘날의 웹이 탄생되었습니다. 웹은 정보(자원)의 공유를 목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수많은 요청과 응답사이클의..
[Servlet & JSP] JSP 내장객체 내장객체란 JSP가 서블릿 형태로 자동 변환된 코드 내에 자동으로 포함되어 있는 멤버변수, 메서드 매개변수 등의 각종 참조 변수들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JSP 내에서 선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객체이다. 내장객체들은 특정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 형태로서, 컨테이너를 통해서 초기화되고 다양한 기능과 정보들을 제공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선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할 것이다. 이유는 작성된 JSP 코드는 서블릿으로 변환된 후 모두 _jspService() 메서드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메서드 매개변수인 request, response와 지역변수로 선언된 pageContext, application, page, config, out 등은 모두 내장객체가 된다. 해당 내장객체들은 _jspSer..
Cache 캐시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저장소입니다. 캐시는 원본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을 경우에 사용하는데 즉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므로서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작동 방식 - 원본 데이터와는 별개로 자주 쓰이는 데이터들을 복사해둘 캐시 공간을 마련한다. 캐시 공간은 상수 시간 등 낮은 시간 복잡도로 접근 가능한 곳을 주로 사용한다. - 데이터를 달라는 요청이 들어오면, 원본 데이터가 담긴 곳에 접근하기 전에 먼저 캐시 내부부터 찾는다. - 캐시에 원하는 데이터가 없거나 너무 오래되어 최신성을 잃었으면 그때서야 원본 테이터가 있는 곳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
[Servlet & JSP] JSP JSP란 JavaServer Pages의 약자이며 HTML 코드에 JAVA 코드를 넣어 동적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웹어플리케이션 도구이다. JSP가 실행되면 자바 서블릿(Servlet)으로 변환되며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장되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렇게 생성된 데이터를 웹페이지와 함께 클라이언트로 응답한다. JSP 실행 순서 1. 클라이언트가 어떤 동작을 함으로써 hello.jsp를 요청하였다. 2. JSP 컨테이너가 JSP 파일을 읽는다. 3. JSP 컨테이너가 Generete(변환) 작업을 통해 Servlet( .java ) 파일을 생성한다. 4. java 파일은 다시 .class 파일로 컴파일된다. 5. Execute(실행)을 통해 HTML 파일을 생성하여 JSP 컨테이너에게 전달한다. 6...
쿠키 & 웹 스토리지 쿠키란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크기의 문자열(최대 4KB)입니다. http는 비연결성, 무상태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징 - 주로 서버에서 사용합니다 - 요청 시 Headers에 실려서 전송합니다. - 만료 기간 지정 가능합니다. 쿠리는 만료기간에 따라 영구쿠키(Persistent Cookie)와 세션쿠키(Session Cookie)로 나뉩니다. 영구 쿠키(Persistent Cookie)는 만료기간을 정한 쿠키이며 만료 기간이 끝난 후 삭제됩니다. 세션쿠키(Session Cookie)는 만료기간을 정하지 않은 쿠키이며 브라우저 종료 시 삭제됩니다. 쿠키는 퍼스트파티 쿠키(First party Cookie)와 서드파티 쿠키(Third party Cookie)로도 나뉘는데 퍼스트파티 쿠키(Firs..
[Servlet & JSP] Servlet 서블릿을 한 줄로 정의하자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특징으로는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한다. -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된다. -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javax.servlet.http.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는다. - UDP보다 처리 속도가 느리다. - HTML 변경 시 Servlet을 재컴파일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html 먼저 보겠습니다. + - x / 가볍게 계산..
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1) 에러원인 : jsp에서 operator로 작성했는데 java에서 변수는 operator로 바꾸었는데 겟터 셋터의 이름을 바꾸지 않아서 에러 해결방법: 이름을 Operator로 바꿔주니 정상 작동되었습니다.
API vs Library vs Framework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응용 프로그램에서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입니다. - API는 소프트웨어를 조종하는 리모컨이다. 특징 - 구현과 독립적으로 사양만 정의되어 있습니다. - API에 따라 접근 권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다른 프로그램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 구현이 아닌 제어를 담당합니다. - API를 조합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 Java API, 여러 기업들의 오픈 API Library -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능(함수)을 모아 놓은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비휘발성 자원의 모임 -> 기능 모임 - 시스템..